추진 사업

독립운동 사적지 탐방

주미대한제국공사관

코스1. 황제의 꿈, 대한제국의 길
주미대한제국공사관

위치: 1500 13th St. NW, Washington DC (Logan Circle 15)

역사적 의미

조선과 대한제국의 정부가 1891년부터 1905년까지 주미공사관으로 사용한 곳

설명

워싱턴DC에 조선정부의 공사관이 설립된 때는 1888년이었다. 정식 명칭은 ‘대조선주차미국화성돈공사관(大朝鮮駐箚美國華盛頓公使館)’이다. 최초의 주미공사인 박정양이 1888년 1월 17일 미국대통령 클리블랜드(Grover Cleveland)에게 신임장을 제정한 후 워싱턴 시내의 한 건물(1513 15th O Street NW)을 빌려 외교업무를 개시하였다.

청국(淸國)의 압력으로 박정양 공사가 귀국한 후 그의 후임 공사 이하영은 1891년 12월 1일 브라운(Sevellon A. Brown Jr.)으로부터 25,000달러를 주고 Iwoa Cicle(현재는 Logan Circle)에 있는 현 건물을 구입하여 공관으로 삼았다. 지하 1층과 지상 3층으로 된 빅토리아 양식의 건물로 천장이 높고 7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1층은 공식 업무용이고, 공관 직원과 그 가족들이 2층에 기거하였고, 3층 홀은 연회장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영 공사 초청으로 미 제24대 대통령 그로브 클리브랜드(Grover Cleveland)의 부인 프랜시스 클리블랜드(Frances Cleveland) 등 저명인사들이 연회에 초대되기도 하였다. 당시 대통령 부인이 외국 공사관을 방문하는 것은 처음 있는 일로 현지 외교가에 화제가 되었다.

그러나 1905년 말 을사늑약에 의하여 외교권이 박탈당하면서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은 폐쇄되었다. 공관 건물은 1910년 6월 29일 단돈 5달러에 주미일본대사 우치다 야스야(內田康哉)에게 매도되었고, 다시 주미일본대사 우치다는 1910년 9월 1일 풀턴(Horace K. Fulton)이라는 미국인에게 10달러에 팔았다. 1977년 이 건물은 젠킨스(T. L. Jenkins)라는 사람에게 팔렸다.

현재의 건물은 1889년 2월 조선정부가 주미공사관 용도로 처음 사용한 뒤, 1891년 12월 고종의 주도로 2만 5천 달러에 공식매입하여 16년간 공사관 건물로 사용하였다. 이 건물은 미국 남북전쟁의 영웅이자 정치인 세스 펠프스(Seth L. Phelps)가 1877년에 건립하였고, 토마스 M. 플로우맨(Thomas M. Plowman)이라는 건축가가 설계를 하였다.

공사관 건물은 1972년 6월 워싱턴 D.C. 로건 서클의 유서 깊은 옛 건물과 함께 역사지구(Historical District)로 관리되어 왔다. 이후 2012년 10월 18일 문화재청에서 이 건물을 매입하였고, 그해 10월 31일 문화재청으로 소유권이 완전 이전되었다.

서재필 동상

코스2. 자주독립의 열정
서재필 동상

위치: 워싱턴DC 주미한국대사관 총영사관
(2320 Massachusetts Ave. NW, Washington DC)

역사적 의미

최초의 미주 시민권자가 한국독립운동가로서 한미관계를 발전시킨 서재필 업적을 선양하기 위해 설립된 동상

설명

워싱턴DC 주미한국대사관 총영사관 앞 정원에 설립되어 있다. 보통 서재필은 필라델피아를 중심으로 활동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워싱턴 DC 에서도 구미위원회, 워싱턴 한국친우회 등 활동사항이 많다. 서재필 동상은 2008년 5월 6일 워싱턴 지역 한인교포들이 한국 정부와 서재필기념재단(필라델피아), 송재 서재필기념사업회(전남 보성) 등과 협력하여 건립하였다.

서재필은 한국의 개화와 독립, 그리고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한 한국 근대사의 선각자이다. 또한, 최초의 미국 시민권자로서 한미관계의 발전에 초석을 놓았다. 이러한 서재필의 업적을 높이 기리기 위해 이곳에 동상이 건립되었다.

Korean Cherry Trees

코스3. 봄을 기다리는 마음
한국 벚나무 (Korean Cherry Trees)

위치: American University (4400 Massachusetts Avenue, NW) 구내
주소: 4400 Massachusetts Ave. NW, Washington DC 20016
          American University

역사적 의미

이승만이 한국의 독립을 미국사회에 호소하기 위해 식수했던 나무

설명

이승만은 1943년 4월 8일 오전 10시 아메리칸대학교 교정에서 주미외교위원부, 한미협회, 한국독립운동가가 공동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24주년을 경축하는 기념행사를 개최하면서 한국 벚나무 식수를 추진하였다. 이날 행사에는 300여 명의 한인과 아메리칸대학교 총장 더글러스(P.F. Douglass)를 비롯한 저명한 미국인들이 대거 참석했다.

행사가 끝난 후 이승만은 아메리칸대학교 교정에 하와이 대한부인구제회에서 기부한 네 그루의 벚나무를 갖고 자신을 비롯해 전 필리핀총독부인, 전 호주주재 미국공사 부인, 타일랜드공사 등 4명과 함께 기념식수를 하였다. 그리고 이 벚나무의 이름을 ‘한국 벚나무’로 명명했다. 이것은 워싱턴의 포토맥 공원에 심겨 있는 ‘일본 벚나무’의 원산지가 일본이 아니라 오랜 전통을 가진 한국 울릉도임을 알리기 위함이었다. 이 일을계기로 미국 정부는 ‘일본 벚나무’를 ‘동양 벚나무’로 고쳐 부르기로 했다.

현재 아메리칸대학교는 숙명여자대학교와 자매결연을 하고 국제대학원(School of International Service)을 신축하면서 한국정원(Korean Garden)을 조성하였다. 이를 계기로 아메리칸대학교는 이승만, 정한경 등 한국인들과의 역사적인 관계를 중시하여 향후 이곳에 이승만 흉상(또는 동상)을 건립하게 된다면 관련 대지를 기꺼이 제공해 주겠다고 약속하였다.

당시 식수한 4그루의 한국 벚나무는 현재 아메리칸대학교 우즈 게이트(Woods Gate) 입구에 있는 국제대학원(School of International Service) 건물 바로 옆에 3그루만 남아있다. 그리고 ‘Korean Cherry Trees’라는 이름으로 한국의 초대 대통령 이승만과 더글러스 총장에 의해 식수 되었다고 하는 기념 동판이 부착되어 있다. 벚나무 옆에는 제주도에서 2011년 기증한 돌하르방이 2개 놓여 있다.

American University 안에서 한국벚나무를 찾기 위해서는 School of International Service 건물을 찾아가면 된다. 이 건물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건물 왼쪽으로 돌아가면 한국벚나무와 돌하르방 2개가 있다.

이화손 묘지

코스4. 미국에서 태어난 최초의 한인
이화손 묘지

위치: The Oak Hill Cemetery
주소: 3001 R St NW, Washington, DC 20007

역사적 의미

초창기 한미외교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사료

설명

워싱턴 DC 조지타운에 위치한 ‘오크 힐 묘지’에는 1890년에 안장된 한인 이화손의 무덤이 있다. 이화손(Ye Washon)은 대한제국공사관 4대 공사 이채연의 아들로 1890년 10월 12일 워싱턴에서 태어났다. 당시 미국 신문(이브닝월드, 1890년 10월 13일)에 ‘미국에서 태어난 첫 조선 인’이라는 기사가 실리기도 했으나 생후 2개월 만에 습진으로 사망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공사관 건물주였던 펠프스 가문의 도움으로 12월 18일 조지타운의 가족묘지에 묻히게 됐다.

당시 한국에서는 일 년이 되기 전에 죽은 아이는 족보에 올리지 않아 생후 2개월 만에 숨진 이화손은 아무런 기록도 남기지 않고 사라질 뻔 했으나 대한제국공사관 복원 과정에서 한종수 학예사의 노력으로 국무부 기록에 남아있던 무덤의 존재를 확인하게 됐다. 그리고 지난 2018년 묘비를 찾아 재정비하던 가운데 묘비 뒤에 한글로 새겨진 ‘조선 니화손’이라는 글자가 드러나게 됐다.

미국에서 태어난 조선인 아이의 묘지를 마련해준 펠프스 가문의 사위 브라운(Sevellon A. Brown) 국무부 차관과 이채연 공사의 관계도 흥미 롭고 초창기 한미외교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사료가 되고 있다. 이채연 공사는 1893년 시카고에서 열린 세계박람회에 브라운 차관과 함께 참석했으며 한국에 돌아가 한성판윤(지금의 서울시장), 한성전기회사 사장을 역임했으며 이 과정에서 주미공사로 활동하던 당시 맺었던 미국 인사들과의 인맥이 많은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복회 국가보훈부 독립기념관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재외동포청